-
14주차 2일네트워크 보안 전문가 과정/14주차 2023. 5. 23. 13:38
4장 필수 개념과 명령어
6장 하드디스크 관리와 사용자별 공간 할당
런레벨 1 (사용자 복구 모드)
단일 사용자 모드 -> 외부사용자와 별개로 사용가능한 모드
다중 사용자 모드 -> 부팅시 모든 사용자가 부팅됨
p.167
도움말 사용법
특정 디렉토리만 보기 .bash* -> .bash로 시작되는 모든 것
★ whoami -> 현재 사용자를 보여줌
★ pwd -> 현재 디렉토리의 전체 경로를 보여줌
touch abc.txt -> 빈 파일 만들기
rm -i abc.txt -> 삭제할거냐고 물어봄
mkdir abc -> abc 디렉토리 파일 생성
touch ./abc/test.txt -> abc디렉토리 밑에 test.txt 빈 파일을 만들어라
파일 소유권
chown 새로운사용자이름(.새로운그룹이름) 파일이름
ㄴ파일 소유권 이전 명령어
ex) chown centos sample.txt -> centos 사용자로 바꾼다
chown centos.centos sample.txt -> 소유자, 그룹을 centos 사용자, 그룹으로 바꾼다
chgrp centos sample.txt -> 그룹만 centos그룹으로 변경
chmod 777 sample.txt
777 -> rwx rwx rwx
user group other
ㄴ사용자는 읽기, 쓰기, 실행권한이 있음
그룹은 읽기, 쓰기, 실행권한이 있음
그외는 읽기, 쓰기, 실행권한이 있음
chmod 775 sample.txt
775 -> rwx rwx r_x
ㄴ사용자는 읽기, 쓰기, 실행권한이 있음
그룹은 읽기, 쓰기, 실행권한이 있음
그외는 읽기, 실행권한이 있음
dnf 기능
파일 압ㅊ축
파일 묶기
파일 압축
리눅스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압축 파일의 확장명은 xz, bz2, gz, zip, Z 등이다. 예전에는 주로 확장명 gz를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압축률이 더 좋은 xz나 bz2를 더 많이 사용하는 추세다. 이 파일들을 관리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XZ확장명 xz로 압축하거나 풀어줌. 비교적 최신 압축 명령이며 압축률이 뛰어남
[사용 예]
# xz 파일이름
→ '파일 이름'을 압축 파일인 '파일이름.xz'로 만들며 기존 파일은 삭제됨
# xz -d 파일이름.xz(d는 Decompress의 의미)
→'파일이름.xz' 압축 파일을 일반 파일인 '파일이름'으로 만듦
# xz -1 파일이름.xz(1은 List의 의미)
→ '파일이름.xz' 압축 파일에 포함된 파일 목록과 압축률 등을 출력
# xz -k 파일이름(k는 Keep의 의미)
→ 압축 후에 기존 파일을 삭제하지 않고 그대로 둠
bzip2
확장명 bz2로 압축하거나 풀어줌
[사용 예]
# bzip2 파일이름
→ '파일이름'을 압축 파일인 '파일이름.bz2'로 만듦
# bzip2 -d 파일이름.bz2
→ '파일이름.bz2' 압축 파일을 일반 파일인 '파일이름'으로 만듦
bunzip2
확장명 bz2의 압축을 풀어줌
bzip2 -d'와 동일한 명령
gzip
확장명 gz로 압축하거나 풀어줌
[사용 예]
# gzip 파일이름
→ '파일이름'을 압축 파일인 '파일명.gz'로 만듦
# gzip -d 파일이름.gz
→ '파일이름.gz' 압축 파일을 일반 파일인 '파일이름'으로 만듦
gunzip
확장명 gz의 압축을 풀어줌
gzip -d'와 동일한 명령
zip
Windows용과 호환되는 확장명 zip으로 압축하거나 풀어줌
[사용 예]
# zip 생성할파일이름.zip 압축할파일이름
→ 압축할 파일 이름을 '새로생성될파일이름.zip'으로 만듦CRON과 AT
cron - 시스템 작업을 예약해 놓는 것
at - 특정 시간에 한 번만 예약하는 것
nmtui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