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13주차 1일 VM
    네트워크 보안 전문가 과정/13주차 2023. 5. 15. 10:20

     

     

    서버가상화?

    물리적인(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 

    서버의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 가상머신 위에 물리적인 서버환경과 독립된 이중화 및 부하분산 -> 안정성과 확장성 확보

    운영을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용어 정리

    Term Definition Examples
    Operating system Software designed to allocate physical resources to applications Microsoft Windows, Linux
    Application  Software that runs on an operating system, consuming physical resources Microsoft Office, Chrome 
    Virtual machine  Specialized application that abstracts hardware resources into software  
    Guest The operating system that runs in a VM (also called the guest operating system) Microsoft Windows, Linux 
    Hypervisor Specialized operating system designed to run VMs  ESXi, Workstation, Fusion 
    Host Physical computer that provides resources to the ESXi hypervisor Microsoft   

     

    가상하드웨어 VHW

    ㄴ OS를 지원하기 위해서

     

    Hyperviser 종류

     

    1. type1 :BareMetal    -> Hyperviser default

    2. type2: Hostel          -> 개발자 default

     

    type 1 VMware, Vspere, ESXi

     

     

    가상화 인프라 구축 예정

     

     

     

     

    가상머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VHW - 가상 하드웨어" 

    GPU -부동소수점 연산을 위해서 사용

    병렬포트 - 프린트

    직렬포트 - 네트워크 장비

     

    vCPU, VMem, vNIC, vDISC  -> 4가지는 가상화 되어야함

     

     

    nexus9000 = 가상 화면이 필요함

    mount = 1ㄷ1 연결 (물리적인 자원을 독점적으로 사용)

     

     

    Virtualization

    Emulation

     

     

     

    물리적 CPU와 가상 CPU를 연결 하여 번역해주는게 eve ng

    물리적 CPU의 기능을 가상 CPU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번역해주는게 Eve ng (pnet)

    명령어를 동일하게 해서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야함

     

    위 버전은 체험판으로 약 60일 정도 무료로 사용 가능

    밑 버전은 돈내고 사용하는 용도

     

    평소 실습은 7.0버전으로 했었고 NSX는 사용하지 않았음

     

     

     

    물리적인 CPU의 경우 제조사에서 가상화 명령어를 설정해서 오기 때문에 신경 쓰지 않아도 됨

    나머지 가상화에 신경써야함

     

     

    '네트워크 보안 전문가 과정 > 13주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주차 5일 VM  (0) 2023.05.19
    13주차 4일 VM  (0) 2023.05.18
    13주차 3일 VM  (0) 2023.05.17
    13주차 2일 VM  (0) 2023.05.16

    댓글

Designed by Tistory.